제2차세계대전을 조금이라도 공부하게 되면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나 스탈린그라드의 혈전보다도 일본군의 여러 기행이 가장 눈에 먼저 들어온다. 당시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던 한국 입장에서는 진주만 공습으로 시작된 태평양 전쟁이 한국 독립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니 관심이 갈 수밖에 없는데, 그 전쟁에서 일본군이 보인 행위는 너무나도 비상식적이었기 때문이다. 압도적으로 국력의 차이가 나는데도 일본은 왜 중일 전쟁도 마무리 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국과 싸움에 나선 것인가? 이미 패색이 만연한 상태에서 후퇴를 통해 병력을 보전하거나 지연전으로 상대방을 최대한 괴롭히는 합리적인 길이 아니라 ‘천황 폐하 만세’를 외치며 돌격한 끝에 상대의 압도적 화력에 녹아버리는 ‘옥쇄’를 선택한 것일까? 이런 일화들을 접하다 보면 우리는 흔히 ‘황군은 광기의 집단’이고 일본은 나라 전체가 미쳐 돌아간 완전한 비합리적 주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한 발자국 더 나아가면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떠오를 수밖에 없다. 메이지 유신을 통해서 아시아 유일의 근대 국가를 건설하고 열강의 자리에까지 오른, 누구도 흉내내지 못한 업적을 이룬 일본이 왜 제2차세계대전 즈음하여 갑작스럽게 그렇게 ‘미친’ 것일까? 유명 작가 시바 료타로는 이에 대해서 일찍이 ‘러일전쟁 책임론’을 강조한 바가 있다. 막대한 손해를 입어가며 억지로 얻어낸 승리였고, 포츠머스 조약에서 얻어낸 게 많지도 않았음에도, 러일전쟁은 아시아 국가가 유럽 백인 제국을 이긴 쾌거로 칭송되었고, 기습 공격이나 203고지의 돌격 정신을 통해서 국력 차도 극복할 수 있다는 맹신이 퍼졌다. 그리하여 러일전쟁에서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폭주’한 일본은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으로 이어져 원자폭탄을 맞고 나서야 정지했다는 서사가 도출된다.

근대 아시아의 가장 상징적인 순간은 203 고지와 쓰시마 해협이었다. 이미지 출처: 위키백과

가타야바 모리히데의 <미완의 파시즘>은 시바 료타로의 러일전쟁론을 비판하고 제2차세계대전과 군부 파시즘의 다른 기원을 밝히는 책이다. 가타야바는 군부 파시즘을 일으킨 주역들의 실제 행적과 발언을 보면 일반의 생각보다는 훨씬 더 사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그렇게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이들은 대체 무엇이 잘못되었기에 자살적인 전쟁과 광기 어린 옥쇄를 끌어낸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