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완화된 미소 대립: 데탕트

쿠바 미사일 위기로 절정에 달했던 냉전 위기는 베트남 전쟁과 체코슬로바키아 위기로 지속되면서 1960년대를 특징 지었다. 하지만 1960년대는 동시에 1970년대에 짧게나마 꽃을 피울 데탕트의 조건이 마련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소련이 빠르게 핵 능력을 따라잡게 되면서, 상호확증파괴(MAD) 상황에서 소련에 대한 절대적 우위를 점할 수 없게 되었음을 깨달았다. 미국은 자신에 막대한 전비와 사회적 갈등을 강요한 베트남 전쟁에서 승리할 수 없음을 깨닫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1969년에 새로 취임하게 된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은 냉전 대립을 완화하고,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초강대국으로서 소련을 온건한 방식으로 관리해야만 한다는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그의 외교, 전략 문제 조언가인 키신저도 마찬가지 입장을 갖고 있었다.

데탕트의 설계자 헨리 키신저, 이미지 출처: 위키백과

소련 지도부도 마찬가지로 데탕트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소련은 쿠바에서는 다소 굴욕을 감수하며 철수하긴 했지만, 미국과의 핵 격차를 좁히고, 베트남 전쟁에서 의도치 않게 미국을 수렁에 빠트리게 되면서 소련이 미국과 어느 정도의 세력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이는 소련이 미국과 동등한 지위의 초강대국으로서 세력권을 인정받고, 미국과 평화 공존을 통해 세계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비전을 확산시켰다. 이런 인정은 소련 국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여겨졌다. 소련은 자국의 산업을 현대화하는 데 있어서 더 발전한 서방 기술에 접근하고자 했다. 게다가 소련은 국민들이 더 풍요로운 생활을 요구하게 되면서 식량을 비롯한 다양한 물자를 국제 무역에서 구매해야만 했고, 수입품을 결제하기 위한 경화를 더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세계 시장, 특히 서방 시장에서 자국의 에너지 자원을 판매해야만 했다. 당시 소련의 지도자를 맡았던 레오니드 브레즈네프 서기장 또한 데탕트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전쟁의 경험이 강하게 각인되었던 그는 핵전쟁은 물론이고 소련을 전쟁의 참화에 밀어 넣을 모든 상황을 꺼려했다. 브레즈네프는 데탕트를 자신의 통치를 상징하는 업적으로 삼고자 했다. 종합하였을 때, 소련의 상대적 지위 상승과 미국이 겪었던 전략적 난관, 그리고 미소 양국 지도자들의 성향이 데탕트의 조건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