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이 교착 상태에 놓인 가운데, 10월 7일에 발발한 가자 전쟁으로 세계 질서는 한층 더 혼란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물론 이팔 분쟁은 새로운 것도 아니다. 1948년 제1차 중동 전쟁부터 시작된 이팔 분쟁은 20세기 내내는 물론이고 21세기에도 지속되었다. 문제가 전혀 해결이 안 되는 가운데 학계와 언론 모두에서 주목해왔던 문제이니만큼 분쟁의 배경과 갈등 양상도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갈등이기도 하다. 그래도, 이팔 분쟁을 역사적 시선에서 바라보는 글을 쓸 필요가 있다고 보여져 짧게라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스라엘 땅의 역사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이스라엘이 속한 더 넓은 지역인 레반트가 어떤 곳인지를 알아야 한다. 이스라엘과 레바논, 시리아와 요르단에 걸친 지역인 레반트는 고대 페니키아인들의 땅이자 블레셋인들의 땅, 고대 유대 국가가 있었고 훗날 페르시아 제국과 로마 제국을 거쳐 숱한 제국이 점유하게 된 지역이다. 문명의 중심지인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를 잇는 교차로이자, 지중해로 뻗어 나가는 해로의 거점인 레반트 지역에는 오래 전부터 상업이 발전하였고 유서 깊은 도시들이 세워졌다. 7세기 아랍 세력이 흥기하여 이 지역을 정복하기 이전에, 레반트는 그리스-로마의 지중해 문명 하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인 곳이었다. 이후 아랍인들의 정복 후에 레반트는 점차 이슬람화 되었고, 다마스커스는 우마위야 칼리프의 수도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중동이 빠르게 이슬람화되는 와중에도, 레반트의 험준한 산악 지대와 무역 도시들에서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거나, 순니파 이슬람에서 이단시하는 소수 종파를 믿는 종족들이 자신들의 공동체를 지키고 있었다.

계속해서 주인이 바뀌는 레반트에 장기간의 안정적 통치체를 수립한 것은 오스만 제국이었다. 셀림 1세는 이집트의 맘루크조를 정복하고, 이란의 신흥 도전 세력인 사파비 제국을 물리친 뒤 아랍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공고히했다. 정치적으로 안정화되자, 이집트와 발칸, 레반트와 이라크를 잇는 제국의 무역로 하에서 레반트 지역은 혜택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오스만 제국 특유의 분권적인 지방 통치 체제는 레반트의 안정을 창출하는 데 중요했다. 오스만 제국은 각 공동체 구성원들을 그들의 신앙에 입각한 ‘밀레트’라는 행정 시스템으로 나누어서 통치했다. 제국에 세금을 충실히 내고, 조정의 요구 사항에 따른다는 전제 하에 각 종교 공동체는 해당 공동체의 율법 시스템에 맞게 상당한 수준의 자치를 부여받았으며, 종교 공동체 간의 갈등은 중앙 정부에서 조율하거나, 때로는 양측 모두 갈등이 확대되지 않도록 억제했다.

밀레트 제도는 오스만 제국이 내부 분열을 맞이하고, 특히 유럽 열강에 의하여 분할되기 시작하면서 큰 위기를 맞았다. 오스만 제국은 전성기에 유럽 상인들의 활동을 보장해주는 특전인 카피툴레이션을 발급했는데, 제국이 쇠약해지자 이는 유럽 상인들이 제국 안에서 마음껏 이득을 취해갈 수 있는 불평등 관계의 기초가 되었다. 유럽 열강은 오스만 제국에서 상업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현지 협력자들을 찾았는데, 많은 경우 원래 제국 내에서 상업을 오랫동안 맡고 있던 현지 기독교인들이 그 대상이 되었다. 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 유대인, 레바논의 마론파 기독교인은 러시아, 프랑스, 미국, 영국 등의 정치적 후원을 등에 업고, 제국 내에서 상당한 부를 축적했다. 게다가 기독교 지역이었지만 상업 민족이 주류가 아니었던 발칸 반도에서는 이에 더 나아가 기독교인들이 지속적으로 반란을 일으키며 독립을 추구했다. 제국의 주류 무슬림들은 갈수록 부를 축적하는 기독교/유대교 밀레트에 대해서 불만을 품지 않을 수 없었다. 기독교인-무슬림 갈등은 오스만 제국이 징병제를 실시하자 더욱 심해졌는데,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에게 부과된 자치권이 점점 회수되고 제국의 확고한 신민으로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에 불만이었고, 무슬림들은 이교도와 같은 군인으로 복무를 해야한다는 데 수치심을 느꼈기 때문이다. 제국을 구원해보려고 한 압뒬하미드 2세가 칼리프 권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제국의 주요 정체성에 이슬람을 내걸기 시작하면서 기독교인들의 이탈과 반발은 더욱 가속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