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는 사람들이 화려한 도덕 쟁탈전을 벌이는 하나의 거대한 극장이다. 한국 사회의 역동성과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스릴과 흥분은 항상 여기에서 유래한다.”
- 오구라 기조,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오구라 기조는 그의 저서 <새로 읽는 논어>에서 동아시아에는 세 가지 생명관이 있었다고 말한다. 첫째는 육체적 생명, 둘째는 범령론적인 우주적 질서, 셋째는 소규모 집단에서 맥락적으로 나타나는 조화의 순간이다. 오구라에 따르면 셋째는 애니미즘 관념, 둘째는 샤머니즘 관념과 깊이 연관을 맺고 있고, 원래 공자는 셋째 관념에 따른 가르침을 폈다. 여기서 말하는 애니미즘이 오구라 기조의 독자적 정의임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애니미즘은 만물이 신이다라는 신앙이 아니라, ‘공동체의 합의로 무언가를 신으로 여길지 아닐지를 판단하는’ 사고체계다. 자연스럽게 공동체 구성원이 공유하는 구체적 맥락과 합의가 중요해지고,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귀납적 판단이 기초가 된다. 하지만 중국의 제국 체제는 우주적 질서를 요청했다. 제국을 운영하는 데 마을에서 어떤 나무를 신목(神木)으로 정할지 판단하는 귀납적 사고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보다는 모든 신민을 규율하는 우주적 질서와 그 우주적 질서를 구체적 상황에 연역적으로 집행하는 황제와 조정의 권위가 더욱 중요했다. 전국시대를 거쳐 국가 체제가 정교해지고, 나아가 중국이 제국으로 나아가게 되며 맹자를 비롯한 후대의 유학자들은 범령론과 우주적 질서에 걸맞게 유학을 변용했다는 것이 그의 주된 주장이다.
그렇다면 현재 세계에서 가장 활발히 팽창하는 종교적 현상인 K-POP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K-POP 연구가 대중문화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문화 산업 연구를 중심으로 논해지기에 애초에 K-POP을 종교나 특정 사회의 심층 심리 차원에서 다루는 글은 사실상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K-POP을 한국 샤머니즘 전통이 현대 영상 미디어와 함께 현대적으로 귀환한 것으로 해석하고는 한다. 확실히 K-POP 콘서트에 가거나 ‘생일카페’를 비롯한 각종 팬 활동에 참여해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것이 고도로 현대화된 샤머니즘 신앙 활동이라는 인상을 받지 않기란 어렵다. 재능과 자본을 동원해 매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린 육체가 노래와 춤, 화려한 영상을 통해 재현될 때 아이돌과 관객들은 모두 몰아 상태가 되며, 신과 감응하는 샤머니즘적 순간을 체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