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란도 슬슬 익숙해질 무렵, 익숙해지기 힘든 계절이 다가왔다. 이슬람력 9월인 라마단이 시작된 것이다. 선지자 무함마드가 제시한 계율에 따라서 라마단 한달 동안에는 해가 떠 있는 동안에는 금식을 해야 한다. 종교 국가인 이란에서는 당연히 모든 식당은 영업을 하지 않고, 심지어 카페마저도 열지 않는다. 테헤란 북부에 위치한 이 카페는 무려 미국, 그것도 유대인 자본인 스타벅스를 수입해와서 팔고 있었지만 라마단 때는 테이크 아웃만 제공하고 있었다. 카페에 앉아서 책이라도 읽으려 했던 내 계획은 모두 무산되었고 ㅜㅜ

이란 도로의 가장 큰 특색은 구닥다리 푸조 모델이 굉장히 많이 보인다는 것이다. 이슬람 혁명 이전인 팔레비 왕조 시절에 제조업 육성의 일환으로 이란에도 자동차 제조 기업들이 생겼는데, 푸조 라이센스 생산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혁명과 그 뒤 이은 경제 제재는 이란을 국제 무역에서 배제시켰고, 해외의 다양한 신형 자동차를 수입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그러나 동시에 20세기 이란 근대화 덕택에 탄생한 엔지니어와 노동자 집단은 그럭저럭 타고 다닐 수는 있는 자동차를 생산할 역량을 갖고 있었고, 경제 제재는 국내 시장에 대한 보호 장벽으로 작용하여 이란은 주요 자동차 생산국이 아님에도 국산차를 많이 타는 상황이 연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