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맥코믹의 저서 ‘미국의 반세기: 냉전과 그 이후의 미국 대외 정책(America's Half-Century: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in the Cold War and After)’은 냉전 시대 미국의 대외 정책들을 일관되게 조명하고자 하는 역작이다.

이 책은 미국의 전반적인 대외 정책을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World system theory)의 렌즈로 설명한다. 세계체제론은 자본주의 체제가 공간적으로 분업 체계로 조직되어 있다는 이론이다. 자본과 높은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핵심부가 있고, 핵심부에 원료와 시장을 제공해주는 주변부가 있다. 그리고 이 둘을 매개해주는, 중수준의 자본과 기술을 보유하고 노동력을 통해 저부가가치 제조업을 수행하는 반주변부가 있다.

그리고 이 공간적 분업 체계를 조직하고 통제할 수 있는 국가는 패권국이다. 패권국은 핵심부에서 가장 역동적인 경제적 역량을 갖고 있는 경제적 패권을 바탕으로 떠오르며, 그 경제적 힘은 군사력으로 전환되어 자원과 시장을 통제하는 군사적 패권도 획득하게 된다. 즉, 1945년을 계기로 미국이라는 국가는 세계 자본주의의 최중심에 위치한 경제적 패권국이자 군사적 패권국으로 떠올랐고, ‘미국의 반세기’라는 20세기 후반은 그 패권을 행사하며 세계체제론에 입각한 세계 경영을 수행한 시기였다는 것이 이 책의 주요한 주장이다.

맥코믹에 따르면 미국이 패권을 위해 움직인 동기는 기본적으로 경제적인 이유에서 왔다. 미국은 서유럽과 일본이라는 산업 핵심부를 자신의 통제 하에 두고, 그 핵심부를 위한 반주변부와 주변부에 대해서 통제력을 행사하고자 했다. 소련은 생산과 기술 역량에 매우 큰 제약이 있는 반주변부로서 미국 중심의 세계체제에서 자율성을 인정받으면서도 합류하고 싶었으나, 미국은 소련의 자율성을 인정하고자 하지 않았기에 냉전이 발생했다. 소련의 위협은 서유럽과 일본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고, 미국식 국제주의/세계주의에 반대하는 미국 국내의 세력들의 발언권을 억제하는 데도 매우 큰 구실이 되어줄 수 있었다. 한편 제3세계에서는 기존 식민지 유산과 핵심부에 대한 종속을 끊어내고, 자원 수출에 대한 통제력과 자체적인 공업화를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는데, 이는 국제분업 체계를 뒤흔드는 것이기 때문에 비밀공작과 군사력을 활용해서라도 억눌러야 했던 것이었다. 그래서 맥코믹의 시각에서 1945년부터 1991년까지의 냉전이란 사실 미소대립이 아니었다. 미소대립은 세계체제를 통제하는 패권국으로서 미국이 자국의 패권을 지구적으로 행사하는 데 걸림돌이 되었던 여러 요소 중 하나였을 따름이다. 저자는 소련이나 중국을 향한 데탕트도 경제적인 맥락으로 설명하는데, 베트남전의 패전으로 과해진 군사력 지출을 줄여 예산 압박을 해소함과 동시에, 소련과 중국이라는 거대 시장과 원료 공급처를 제1세계 자본의 진출 무대로 통합하고자 하는 시도였다는 것이다. 소련은 원래부터 이러한 거래 관계의 수립을 염원하고 있었는데, 미국의 경제적 이해관계와 판단 동기가 달라지면서 소련의 제안에 응한 결과가 데탕트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