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부터 10년 전, 가수 싸이가 이제는 신화가 된 <강남스타일>을 통해 전 세계를 뒤흔들었다. 그동안 아시아 시장에만 국한되어 있던 한국의 대중음악이 언어의 장벽을 뛰어넘고 누구도 예상치 못하게 세계 전역으로 퍼져나가 하나의 신드롬을 만들었던 것이다. 특히 사람들은 기존 200년간 절대적인 패권을 유지하고 있는 서구에서도 강남스타일이 문화 현상으로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것에 주목했다. 이미 일본, 한국, 대만 등의 국가가 산업과 경제적인 면에서는 서구의 독점적 권력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부상했고, 거대한 중국은 머지않아 판의 규칙을 새로 쓰고자 하고 있었지만, 문화적인 면에서도 유사한 일이 생겨날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람은 누구도 없었다. 일본 문화나 홍콩 문화가 제한적인 유행을 일으키긴 했지만, 그것은 일시적으로 유행한 ‘스타일’이었으며 서구 문화라는 ‘인류 보편 문화’에 종종 등장하는 첨가물의 위상을 넘지는 못했었다. 그리고 강남스타일을 둘러싸고 펼쳐진 논쟁도 정확히 같은 쟁점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핵심은 이것이 과연 그동안 아시아에서 상당한 수준의 지위를 점한 한국 대중문화, 혹은 한국 대중음악(K-POP)이 서구에도 진출한 사례로 볼 수 있냐는 것이었다. 사실 당시 강남스타일 신드롬이 한국인들의 국가적인 자부심을 고취시키면서 소위 ‘국뽕’의 필수 재료로 떠올랐지만, 관련 논의를 주도하는 사람들은 강남스타일 돌풍이 몹시 과장되었다고 생각했고, 대중문화를 민족주의적 자긍심의 원천으로 활용하는 행태에 대해서도 매우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는 게 보통이었다. 물론 강남스타일 신드롬에 열광하던 일반 대중들도 이것이 한국이 서구의 문화 패권에 도전하게 될 하나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이야기한다면 당시로서는 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냐며 코웃음 쳤을 것이 분명했다. 일반적인 인식에서 강남스타일은 ‘우스꽝스러운’ 가수인 싸이가, 밈(meme)으로 활용되기 좋은 노래를 불렀기 때문에 인기를 얻은 것이었다. 즉, 강남스타일은 진지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해주는 음악이 아니라 단순히 우연한 계기로 잠시 세계를 흥겹게 한 일시적 신드롬에 불과했다.
유사한 논쟁 구도가 K-POP이 서구에서 인기를 얻는다는 다른 신호들이 보일 때마다 계속해서 반복되었다. 강남스타일이 나오기 1년 전인 2011년, 기획사 SM이 프랑스 파리에서 소속 가수들을 데리고 콘서트를 개최했을 때가 대표적이었다. ‘억지 국뽕’이 아직은 유효하던 시기였기에, 한국에서는 자신들이 선망하는 서구 선진국의 시민들이 K-POP을 들으러 공연장에 왔다는 것을 자랑스럽게, 또 신기하게 생각했다. 하지만 역시 이것이 자연스럽지 않으며 ‘억지’, 혹은 과장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이후 수년 간 계속해서 반복될 K-POP 회의론의 요점은 이러했다. “아이돌 음악은 진지한 음악 콘텐츠로 간주할 수 없으며, 설령 서구인들이 그런 문화를 소비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사회의 마니아들 일부의 이야기지 절대 ‘주류’로 진출할 수는 없다.” 물론 이는 한국인들만의 생각은 아니었다. 한국과 대중문화 영역에서 경쟁하는 국가가 된 일본에서도 이런 시각은 일반적이었고, 간혹 한국과 아시아에 관심이 있는 서구인들 또한 마찬가지로 생각할 때가 많았다. 그들은 한국 특유의 기획사 시스템으로 형성된 아이돌이라는 존재가 굉장히 부자연스럽다고 간주했으며, K-POP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한국의 ‘잘못된’ 요소들을 잘 개선해야 할 것이라는 암시를 주는 평을 달고는 했던 것이다.